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회/문화 사회종합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에 피해 잇따라

김지인 기자 입력 2024.02.06 09:41 수정 2024.02.06 09:58

읍·면 100개里 피해 드러나
10억 투입 방제전략 주력

↑↑ 재선충병 발생이 우려되는 소나무 군락지에 예방약제를 주입하고 별도의 표시를 해뒀다.
ⓒ 성주신문

매년 수십억원의 예산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에 투입되고 있으나, 최근 재선충병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성주군 10개 읍·면의 100여곳에 달하는 마을이 재선충병 피해를 입었거나 반경 2km 이내 위치해 소나무류 반출금지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특히 지난해 가을 이후 선남면 낙동강변을 따라 집중적으로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1998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일원의 금정산에서 처음 발견된 소나무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 등에 기생한 매개충이 나무를 갉아먹을 때 생긴 상처를 통해 침투한다.

재선충병 감염 시 수분·양분 흐름에 이상이 생기면서 잎이 아래로 처지며 시들고 약 한 달 뒤 잎이 붉게 변한 채로 말라 죽기 시작한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다 보니 감염목의 경우 100% 고사할뿐더러 주변 나무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발견 및 신속방제가 필수다.

성주군 선남면 용신리의 주민 A씨는 "1년 전만 해도 한두 그루에 불과하던 잎이 붉은 소나무가 어느새 뒷산을 장악한 수준"이라며 "기둥이 갈라진 채 죽은 나무가 앞으로 고꾸라지면서 주택가를 침범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재선충병에 감염돼 말라비틀어진 나무는 마른 장작이 되면서 산불 발생 시 더 큰 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토양 지지력이 약해지면서 집중호우 또는 태풍 내습 시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부 전문가는 재선충병 확산원인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 및 자연재해 등을 지목하고 있다. 더구나 지난 2014년 확산양상이 잠시 주춤한 사이 소극적으로 진행된 방제가 현재의 위기를 만들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내 모 산림업체 관계자는 "현재 각 읍·면에 퍼진 소나무재선충병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자칫 가야산국립공원도 위험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피해가 지속되자 정부는 지난 11일 성주 선남면과 고령 다산면, 안동 임하면, 포항 호미곶면 일원 등 경북 4곳을 포함한 전국 4만483ha 규모의 지역을 소나무재선충병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소나무는 행정구역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고 소나무가 있는 곳에 재선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선제적인 방제작업이 절실하다.

현재 지자체는 매년 봄과 가을로 나눠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작년 한 해 동안 피해지역 내 감염목 및 의심목 등 약 3만본을 제거했다.

올 봄에도 10억원에 가까운 예산규모를 바탕으로 방제전략을 수립한 가운데 감염목 제거, 나무 예방주사, 드론 항공예찰 등을 통해 재선충병 예방에 주력할 예정이다.

성주군청 산림축산과 관계자는 "매개충이 성충이 돼 탈출하기 전 고사목을 파쇄·훈증처리하는 것이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을 막는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며 "가용할 수 있는 예산을 최대한 투입해 방제 및 관리가 가능한 수준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