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문화도시지정 국비 공모사업'에 성주군이 '예비 문화도시'로 승인됨으로써 올해부터 지역브랜드 창출을 위한 문화예술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문체부는 전국에서 응모한 25개 지자체 중 성주군을 포함한 강릉시, 공주시, 순천시, 오산시, 제주시, 춘천시, 통영시, 완주군, 부평구 등 제2차 예비 문화도시 10곳을 문화도시심의위원회 의결로최종 선정했다.
해당사업은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고유문화 자원을 활용해 체계적인 지역발전을 도모하고자 국가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예비 문화도시로 승인받은 군은 1년간의 사업을 평가받고 올해 말 '제2차 법정 문화도시'로 지정되면 향후 5년간 최대 140억(국비 70억, 지방비 70억) 규모의 예산을 받을 수 있다.
군은 '다양한 문화가치가 공존하는 생명문화도시'란 타이틀로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을 확산시키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문화도시 조성 포럼을 시작으로 학습세미나, 네트워크 모임 등 다양한 의견 수렴과정을 거쳤다.
특히 비전으로 내세운 '생명(Life)과 공존(Together)'은 세종대왕자태실 태봉안의식과 성주생명문화축제 등을 통해 구체화됨으로써 지역 관광산업을 견인할 계획이다.
아울러 별고을 성주의 모습과 별의별 문화가 공존한다는 '별별(★別)' 사업도 추진된다.
지역에 기반한 다양한 상호학습 구조인 별별학교, 프로그램 기획 및 콘텐츠 개발 지원사업인 별별실험, 지역생활 문화활동 거점조성사업인 별별공간 등 주민주도형 문화도시 구축전략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관광과 관계자는 "작년 열린 성주파리장서, 4·2독립만세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에서 사회단체 및 주민 3천여명이 재현행사를 개최하는 등 성주군민의 문화적인 역량과 열정은 확인됐다"며 "1년간 예비사업을 철저히 준비해 최종 문화도시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군이 다양한 공모에 선정돼 사업 추진을 앞두고 있지만 진행 과정과 성과에 대해서는 좀더 지켜봐야 할 일"이라며 "치적 쌓기나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닌, 지자체장의 강력한 실천 의지와 함께 군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제1차 예비 문화도시 10곳 중 법정 '문화도시'로 최종 확정된 곳은 부천시, 서귀포시, 원주시, 천안시, 청주시, 포항시, 영도구 등 7곳으로 경북도에서는 유일하게 포항시가 포함됐다.
정부는 매년 10개 내외 도시를 지정해 2022년까지 약 25~30개 법정 문화도시를 선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