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서점의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소멸을 예방하고자 경북도는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한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되고 온라인동영상 서비스인 OTT 매체 유행으로 도서 수요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실정이다.
더불어 대형서점의 성장 및 온라인 시장 확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지역의 중·소형 서점은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2년 지역서점 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내 서점은 160개로 서울(492개), 경기(438개), 부산(198개) 다음으로 많다.
그러나 도내 서점이 하나뿐인 곳은 성주, 고령, 영양을 포함한 3곳이고 하나도 없는 지역 또한 청송, 봉화, 울릉 등 3곳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북도는 독서문화 조성 및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토대로 지역서점의 자생력을 강화하고, 서점이 단순히 책만 사고파는 공간이 아니라 북콘서트와 음악회 개최 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우선 지역서점 활성화 사업의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정비하고 도지사가 교육감과 협력해 학교나 공공도서관 등에서 도서 구매시 지역서점 이용을 우선토록 하는 조항을 신설한다.
이어 도내 160개 지역서점 중 특색있는 서점을 발굴한 후 ‘책 지도’를 제작해 홍보에 적극 이용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서점에서 구입한 도서를 읽고 공공도서관에 반납시 책값의 일부금액을 지역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책값 돌려주기’ 사업을 실시한다.
반납된 책은 학교, 아동복지시설 등 공공기관에 기증한다.
더불어 노후한 서점의 간판 교체비용을 지원하고, 서점이 없는 지역에는 관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주민을 위한 사랑방으로 조성함으로써 독서모임 등의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아울러 경북도서관에서 진행 중인 북가락 문화 아카데미, 독서문화프로그램 등을 지역서점에서 열어 독서코칭과 소통 및 공감의 장을 마련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서점은 단순히 책을 파는 곳이 아니라 주민들의 사랑방 역할을 해왔다”며 “지역서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 경쟁력을 높이고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