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
ⓒ 성주신문 |
지역의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를 노린 공공기관 사칭범죄 이른바 '노쇼(No-Show)' 사기가 반복되면서 골목상권을 중심으로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군부대, 소방서, 교도소 등에 이어 군청 직원을 사칭해 단체주문을 한 뒤 연락을 끊거나 물품 구매명목으로 돈을 가로채는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실제로 성주에서는 모 군부대 중사를 사칭해 피자 20판을 주문한 뒤 연락을 끊어 38만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 바 있고 소방서 직원이라고 속여 방화복 대리구매를 요청하며 4천400만원을 편취한 사례도 보고됐다.
뿐만 아니라 성주군청 건설과 직원인 것처럼 행세하며 심장충격기 대리구매를 유도해 4천750만원을 가로챈 정황도 드러났다.
이들 사례 중 상당수는 기관의 로고가 들어간 명함이나 직인이 찍힌 결제 확약서 등 위조된 공문서를 제시해 신뢰를 얻은 후 추가비용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갈수록 수법이 정교하고 대담해지고 있다.
금전적 피해를 입었거나 사기로 의심되는 연락을 받은 업체는 음식점부터 편의점, 약국, 농자재 판매상, 가전제품 렌털점 등 광범위하며 대부분 영세사업자로 알려져 자칫 생계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경북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현재까지 성주를 포함한 도내 노쇼 사기 신고건수는 150여건이며 피해금액은 건별로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사건이 계속되자 경찰서 직원들은 지역의 상가 300여곳을 직접 방문해 노쇼 사기수법과 예방요령이 담긴 전단지를 배포하며 경각심을 일깨웠다.
경찰서 관계자는 "주문시 선결제 또는 예약금을 요청하고 예약을 받기 전에는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114를 통해 해당 기관 및 시설의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담당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물품 대리구매를 요청할 경우 신종사기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길"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빌미로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이메일 등을 통한 피싱 사기가 잇따르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대상 및 금액 확인, 카드혜택 신청 등의 문구를 내세워 첨부된 인터넷 주소를 누르도록 유도한 뒤 원격조종 앱을 설치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불법으로 확보한 개인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이 포착되면서 수신자 입장에서는 실제 정부기관 및 금융기관의 안내와 구분하기 어려워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는 누르지 말고 결제내역을 수시로 확인해 이상거래가 감지될 경우 112 또는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police.go.kr), 금융감독원(☎1332) 등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