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15일 군청에서 국방부 관계자와 사드반대 단체 및 주민들이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
ⓒ 성주신문 |
|
국방부의 사드기지 정상화에 따른 물류차량 반입이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지난 15일 성주군청에서 국방부 관계자와 소성리 주민 포함 사드반대단체간의 첨예한 의견대립이 이어졌다.
이날 소성리 주민들은 사드 최종 배치결정에 기초가 될 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국방부가 협의회를 구성함에 따라 주민대표의 신원공개를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지자체 및 주민대표를 비롯한 국방부·환경부 직원,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환경영향평가협의회(10명)가 분야별 세부항목을 심의해 초전면 소성리산 51-3번지 일원을 사드기지 환경평가지로 공개한 바 있다.
국방부는 지난 6월부터 협의회 구성을 위한 주민대표 추천을 성주군에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사드기지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지난 13일부터 군청 로비에서 환경평가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석주 소성리 이장은 "떳떳하지 못한 주민대표를 내세워 밀실협의를 한 것도 모자라 소성리 주민의견은 반영되지 않은 채 환경영향평가를 추진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대로 국방부와 성주군이 서로의 책임을 전가한 채 침묵한다면 우리는 생존을 위해 끝까지 싸울 수 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처럼 계속된 농성에 성주군은 주민 의견수렴을 위해 국방부의 방문을 요청함에 따라 국방부 군사시설 천승현 기획관과 주민 사이에 소통의 자리가 마련됐다.
천 기획관은 "주민대표가 본인신상을 비공개로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상세히 밝힐 수 없는 점을 헤아려 주시길 바란다"며 "이에 대해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이전의 사례들을 찾아 추후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임순분 소성리 부녀회장은 "주민대표 공개는 물론 지난 14일 야간에도 유류차량을 진입시키고 약 200여명의 주민 평화행동에 무자비한 진압이 행해졌다"며 "매번 한밤 중에 불시에 경찰들이 몰려와 야간작전을 벌이는 비열한 방법을 그만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통상 약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나 국방부는 6개월 이내인 내년 3월까지 관련 검토를 완료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