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9년에 지역 최초로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설 에정인 예산리 334-1번지 일대 |
ⓒ 성주신문 |
지난해 성주군은 국토교통부 '상반기 공공임대주택' 공모사업으로 포항, 고령과 함께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에 최종 선정돼 국비와 주택도시기금 융자 등 주택건설비의 최대 80%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약 100세대로 총 사업비 319억원을 투입하는 공공임대주택 건립은 180억원의 지방소멸기금을 비롯해 나머지 재원은 주택기금출자(국비) 39%, 융자 41%, 시행자 20%로 나눠진다.
입주대상은 청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산업단지 근로자 및 장기근속자(창업가) 등 취약계층 주거안정을 목표로 비용부담을 경감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생활기반 환경을 조성해 현재 지역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건축허가과 관계자는 "1·2인 가구를 중심으로 하는 일자리 연계형 공공임대주택 공모 지침상 대구와 같은 넓은 평수는 아니지만 지역 맞춤형 설계로써 청년·신혼부부의 저출생을 대응하며 향후 건립되는 3차일반산업단지 근로자 수요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공임대주택을 건립할 수 있는 군유지(부지)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많은 세대를 수용할시 평수가 좁게 빠질 뿐더러 관리비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원룸이 아닌 최대 3인 가구가 입주 가능한 구조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인 만큼 업무공간과 커뮤니티 시설 등 성주군창업지원센터와 연계한 인프라도 고려 중에 있다.
한편, 2021년 4월부터 성주읍내에선 18층 이하의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 중층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제2종일반주거지역의 토지가 모두 소모됐을 뿐만 아니라 경산7리, 성산5동 등 많은 구역이 지적불조합으로 구분돼 현재 증·개축이 힘든 실정이다.
이같은 문제로 앞서 성주군은 주거용지 수요증가와 공동주택 선호도를 반영해 경상북도에 성주예산지구 도시개발사업 검토 및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2030년까지 예산리·백전리 일원의 7만4천평 규모로 1천91억(도비)을 투입하는 신규투자사업에 경상북도개발공사는 성주군에 상하수도 및 진입도로 구축을 위한 기반시설 설치(258억)를 조건부 승인으로 내걸은 바 현재까지도 협의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민선8기 공약으로 '역동적인 도시재생 도농복합도시 성주'란 슬로건을 내세우며 이행률 30%를 기록하고 있는 임대주택 건립은 올해 협약과 건축설계가 순차적으로 이뤄진 후 2027년 2월쯤 착공할 예정이다.